분류 전체보기 123

Swagger 를 사용해서 Type 이 Bearer 인 JWT Token 인증하기

개발환경 IDE : intelliJ FrameWork : springboot 3.2.2 Launguage : java 17 BuildTool : Gradle Swagger : SpringDoc 문제 상황 restAPI 생성 후 Swagger 를 이용해서 문서작성 도중 JWT 인증 관련 테스트를 위해서 Bearer 타입으로 인증정보가 넘어 와야했는데 자꾸 Bearer 가 누락된채로 JWT 키값이 넘어 왔다. 개발시 테스트는 Postman 을 사용 했다. 이때까진 전혀 문제가 없었는데.. Swagger 을 쓰니까 인증이 안됐다. 이전에, 내가 Swagger 를 사용하기 위해 참고한 링크와 build.gradle 은 다음과 같다 1. SpringDoc + Swagger 사용하기 [Spring Boot 3] S..

Dev/Springboot 2024.01.29

@Transactional 사용시 Insert/update 유의점

개발환경 IDE : intelliJ FrameWork : springboot 3.2.2 Launguage java 17 DB : h2 문제상황 Junit5을 통해 단위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Insert / update 관련해서 로그가 찍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다. 테스트 편의성을 위해 메모리 DB 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DB 에 들어간것을 확인하기도 힘들어서 Rollback 설정도 해보고 .. 삽질을 했는데 결과적으로는 @Transactional 을 선언한것이 문제였다. 해결방안 @Transactional 을 쓰면 롤백이 발생하는데 , jpa 특성상 롤백이 되면 nsert/update 상태를 확인할 수없다! 바로 flush 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 flush 관련 내용은 여기로 )

Dev/TDD 2024.01.29

SpringBoot + JPA 환경에서 RestAPI 생성시 고려해야할 것들

회사에서 API 를 직접 생성해서 제공하고, 외부 API 를 가져와서 데이터를 파싱하는건 아주 흔한일이다. 처음에 지식이 없는 상태로 구축을 진행하게 되면, 유지보수 때 아주 힘들 수 있으므로 처음 개발을 진행할 때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는것들을 정리했다. 1. DTO 를 따로 만들자 Entity 는 여러군데에서 쓰기 때문에 변화가 많다. 따라서 외부에서 쓸 때 변화가 없는 request / response dto 를 따로 만들어서 작업하도록 하자. 실제로 유지보수할 때, 응답에 포함되는 responseBody 항목이 바뀌면 관련된 가이드 문서부터 시작해서 내가 제공한 사이트에서 나는 오류발생시 대응등.... 불편한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규격화된 DTO 를 생성하여 Entity 가 변경..

Dev/Springboot 2024.01.29

@ExceptionHanlder 처리와 @ RestControllerAdvice ResponseEntityExceptionHandler

SrpingBoot 환경에서 간단한 사용자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구현하는 restAPI 를 만들다가, 예외처리를 위해 @ExceptionHandler 를 사용하던 도중 @RestControllerAdvice 와 ResponseEntityExceptionHandler 관련한 내용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찾아본 결과를 포스팅 하고자 한다. 사용한 스프링 부트 버전은 다음과 같다. 작업 환경 spring boot 3.2.2 1. @ControllerAdvice 와 RestControllerAdvice 의 차이 우선 나는 RestControllerAdvice 를 사용해서 관리할 ExceptionHandler 들을 하나의 파일로 묶었다. 이 때 ControllerAdvice 와 RestControllerAdvice ..

Dev/Springboot 2024.01.29

2023 정보보안기사 4회차 실기 불합격 후기

이번엔 보안기사 실기 불합격 후기를 들고 왔다. 보통 합격 수기를 많이 쓰지만.. 왜 떨어졌는지 파악하는 것도 다음 합격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쉬움을 뒤로하고 글을 남긴다. 시험 결과 48점이 나왔다. 가채점 결과로는 실무를 하나도 맞추지 못해도 62~ 68 정도 사이를 예상했기에... 내가 생각한 것보다 서술형에서 많이 깎인 걸로 보인다. 준비 기간 및 사용 교재 나같은 경우는 필기를 대충보지 않았다. 필기부터 실기를 본다는 생각으로 꼼꼼히 보고 실제로 점수도 안정권으로 나왔다. 2023.10.21 - [자격증/정보보안기사] - 2023 정보보안기사 4회 차 필기 합격 후기 2023 정보보안기사 4회차 필기 합격 후기 23/10/20 오전 9시에 합격 안내 문자가 날아와서 기쁜 마음으로 사이트..

Repeated column in mapping for entity 오류 해결하기

오류 발생 상황 jpa 에서 상속관계 내용을 공부하던 도중 MappedSuperClass 에 해당하는 BaseEntity 를 생성하고, 이를 extends 하는 Member 코드를 작성 후 실행 오류 내용 Repeated column in mapping for entity 해결 방법 검색해보니 엔티티 설계 자체가 잘못되었을 때 발생한다고해서 BaseEntity 부분에 Member 의 @Id 부분이 중복되어 기재된 것을 확인 후 제거하니 정상적으로 잘 된다. 복사 붙여 넣기를 할 땐 항상 주의하자...

Dev/JPA 2023.12.27

JPA 상속관계 매핑 - 상속 전략과 MappedSuperClass

1. JPA 에서 상속관계매핑이란? 객체(Entity) 의 상속구조, 데이터베이스에서 Super/Sub 타입 관계를 매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부모 객체(Super)를 자식 객체(Sub)가 상속하게 되면 부모객체의 변수와 메서드에 접근 가능한 것처럼, JPA 에서도 상속관계 매핑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판매하려고 하는 상품(Item) 에는 서적(Book), 앨범(Album), 영화(Movie) 가 있다고 하자. 이 때 상품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징을 묶어 Item 객체를 생성하고 서적과 앨범, 영화는 각각 Item 을 상속받는 Book, Album, Movie 객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정의한 Item 과 Book, Item 과 Album, Item과 Movie..

Dev/JPA 2023.12.27

JPA 에서 연관관계의 정의

12월동안 JPA 강의를 수강하고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면서 가장 힘들었던 내용이다. 까먹기전에 수업들었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려고 한다. 사실 강의를 한번들어서 연관관계를 파악하기에는 쉽지 않았다. 역시 직접해보는게 최고다. 개인 프로젝트 적용할 때 속도는 느렸지만 도움이 많이 되었기 때문에 혹시 이 개념이 헷갈린다면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본인이 직접 처음부터 강사님의 예제와 유사한 구성을 새로 기획하여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한다. 1. 연관관계란? 말 그대로 두 객체가 연관되어 서로의 객체를 참조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2. 방향(Direction) 의 종류와 의미 , 단방향과 양방향이란? 두 객체(Entity) 가 있을 때, 서로 연관관계가 있다면 양방향 연관 관계, 한쪽에 대해서만 관계가 있..

Dev/JPA 2023.12.27

JPA 에서 기본 키 매핑하기

1. 기본키매핑에는 어떤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가? 기본키 매핑에는 @Id, @GeneratedValue 를 사용할 수 있다. 기본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직접 값을 지정하는 방법과, auto-increment, sequence 생성들을 통해 자동으로 방법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크게 직접할당과 자동 생성으로 나눌 수 있다. 1) 직접 할당 : @Id 만을 사용한다. @Id private Long id; 2) 동적 할당 : @Id 와 @GeneratedValue 를 동시에 사용한다.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여기서 자동생성 하는 방법에서 총 네가지의 strategy 를 선택할 수 있다. 2. 기본키 매핑시 @GeneratedValue 에 지정할 수 있는 strategy 종..

Dev/JPA 2023.12.26

개인프로젝트_UKmedicine_1

요구 사항 회사에서 일할때도 느꼈던거지만 사실 기능을 구현하고 만드는것 보다는 고객의 요청사항을 파악하고 그것을 구체화 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무리 개발 실력이 좋아도 무엇을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정의가 되어 있지 않다면 결과물 또한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간단한 게시판으로 만들겠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기능은 정의하고 가면 좋을 것 같아서 게시판의 성격과 주요 기능을 정의 하고자 한다. 1. 로그인은 구현하지 않는다. 2. 주료 사용되는 재료 항목과 재료를 통해 만들 수 있는 레시피를 검색할 수 있다. 3. 재료는 등록/삭제/수정 할 수 있다. 4. 레시피는 등록된 재료를 검색하여 등록/삭제/수정할 수 있다. 5. 레시피 조합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 해당 약재에 필요한 물의 총량이 도출 되어야 한다. 6. ..

Dev/Toy Project 2023.12.11